티스토리 뷰

건강

다래끼 옮나요 알고 싶어요

킹스핸들 2018. 5. 15. 16:50

눈에 다래끼가 생기면 시야도 잘 안 보이고 눈꼽 제거도 힘들고 세수 제대로 안 한거 아니냐는 소리를 듣기도 하는데요. 감기처럼 눈다래기도 다른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는건지 '눈 다래끼 옮나요?'라고 궁금증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다래끼는 눈꺼풀에 염증이 생기는 증상으로 안검염 이라고도 합니다. 눈꺼풀에는 다양한 분비샘이 존재하는 데 염증이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겉다래끼, 속다래끼(맥립종), 콩다래끼(산립종, 만성 육아섬종 염증)으로 나누기도 합니다.



겉다래끼는 주로 눈꺼풀 겉면에 발생하며 속다래끼나 콩다래끼등은 눈밑이나 눈 아래 생기는 다래끼 입니다. 다래끼 흔히 발생하며 경미한 미생물 감염이나 일반적인 피부병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럼 눈 다래끼는 전염성이 있어서 감염이 되는걸까요? 보통 다래끼가 난 사람과 눈도 마주치지 말라는 얘기가 있는데요. 다래끼는 눈의 분비샘이 막히거나 염증으로 발병하는 것이어서 전염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다래끼는 옮지 않습니다.




다래끼는 세균으로 옮기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주변 사람이 다래끼가 생겼다고하면 지나치게 회피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눈이라는 게 너무 확 띄는 곳이다 보니 심리적인 거리감까지 없애기는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눈에 다래끼가 생기면 가려움, 이물감, 속눈썹 붓기, 건조, 눈꺼풀의 홍반등이 동반 됩니다. 다래끼가 심할 경우에는 안과를 방문하는 것이 좋은데요. 증상이 심해질 경우 눈꺼풀의 가장자리의 모세 혈관 확장, 역방향 속눈썹, 속눈썹 손실, 눈꺼풀 겉말림뿐 아니라 결막 및 각막까지 영향을 미쳐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눈꺼풀 세정은 눈꺼풀 염증을 치료하는데 필수적 인데요. 미지근한 물에 아기 샴푸를 희석한 후 면봉을 이용하여 눈꺼풀 주위를 마사지하듯 살살 닦아주면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증상 개선이 보이지 않을 경우에는 의사와 상담을 해 보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