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직장인들이 월요병을 애써 외면하며 출근하고 상사의 잔소리를 참을 수 있는 이유는 바로 월급(연봉)이 있기 때문인데요 요즘은 월급을 현금으로 받지 않기에 급여 통장에 잠시 있다가 어느새 사라져 버리기가 일쑤입니다.



불경기에 실업률도 높아져 일자리가 있다면 일단 취직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최소한의 연봉은 만족이 되어야 취업을 한다는 경우도 많은데요 직장인들에게 가장 민감하면서도 중요한 연봉별 (대표적으로 4500, 2800, 7000만원) 실수령액 및 조회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연봉 실수령액 조회는 취업정보 사이트 '사람인'에서 가능한데요 사람인 홈페이지(www.saramin.co.kr) 검색창에서 '연봉'을 입력후 하단 바로가기에 '연봉계산기'를 클릭하면 됩니다.




사람인 연봉계산기는 국세청 간이세액표를 기준으로 공제율을 참고하여 실수령액을 계산합니다. 사람인 사이트에는 연봉계산기외에 글자수세기, 학점변환기, 사진크기조정, 어학변환기등 취업성공 도우미 프로그램도 있으니 함께 참고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사람인 연봉계산기 바로 가기 : https://goo.gl/WWhwc2



연봉계산기 화면 입니다. 몇가지 선택 입력 사항들이 있는데요 부양가족 1명, 20세이하 자녀수 0명인 초기 기준으로 연봉 4500만원을 입력해 보았습니다. 연봉 4500만원을 12개월로 나눈 금액이 내 월급이 되면 좋겠지만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 고용보험, 소득세, 지방소득세긍의 세금이 공제됩니다. 예상 실수령액(월급)은 3,267,770원 입니다. 연봉 4500만원 ÷ 12개월 = 3,750,000원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연봉 4500만원 기준, 이번에는 부양가족과 20세이하 자녀수를 한번 입력해 보았는데요 예상 실수령액은 3,394,040원으로 부양가족이 있으면 실수령액이 조금 늘어납니다. 다른 연봉도 한번 입력해 보겠습니다.



신입일때 일반적으로 많이 받는 연봉 2800만원을 입력해 보았습니다. 예상 실수령액은 2백만원이 조금 넘네요.



고액 연봉도 한번 입력해 보겠습니다. 연봉 7000만원을 입력해 보니 예상 실수령액은 480만원정도 입니다. 월급(실수령액)이 5백만원이 넘으려면 연봉이 7300만원은 되어야 합니다.



회사 규모에 따라 대리,과장급이 받게 되는 연봉 4000만원을 입력해 보았습니다. 실수령액은 290만원정도로 300만원이 조금 안되네요.



억대연봉의 절반인 5000만원을 입력해 보았습니다. 예상 실수령액(월급) 350만원이 조금 넘는 수준입니다.



연봉에 따른 예상 실수령액을 미리 계산하여 자신이 원하는 저축이나 재테크등 중장기 플랜을 구체적으로 세워보는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연봉별(대표적으로 4500, 2800, 7000 만원) 의 실수령액 및 조회 방법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