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17년 정유년(丁酉年) 닭의 기운으로 한해를 시작한게 엊그제 같은데 2018년 무술년(戊戌年) 개(강아지)띠 해를 준비해야 하는 시기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2017년 한해는 여러분에게 어떤 의미로 기억이 될 것 같으신가요?




신년이 되면 지난해를 되돌아 보고 새해에 대한 소망을 안고 시작하게 되는데요. 새로운 희망과 각오를 다짐하며 새해 첫날 떠오르는 해를 직접 보기위해 해돋이 명소를 방문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2018년 신년 새해 해돋이 명소 · 해맞이 축제에 대해 함께 알아 볼께요.



정동진 해돋이 축제 (2017.12.31 ~ 2018.01.01)



정동진(역)은 드라마 모래시계 이후로 너무나 유명한 곳이 되었죠. 강릉, 동해, 삼척으로 이어지는 해안선은 사실 어디를 가더라도 찬란한 해맞이를 볼 수 있는 명소 입니다.




강원도는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개최도 앞두고 있는데요. 많은 분들이 동계 올림픽 성공도 함께 기원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해돋이 이후에 강릉 일대를 둘러 보고 싶으시다면 강릉시청 문화관광 홈페이지 (https://www.gn.go.kr)에서 확인이 가능하세요.



제주도 성산 일출 축제 (2017.12.30 ~ 2018.01.01)



세계 자연유산에 등재되어 있는 제주도의 랜드마크 성산 일출봉에서 열리는 해돋이 축제 입니다. 2017년에는 사드 영향으로 중국인 관광객의 발길이 끊기기도 했는데요. 2018년에는 다시 많은 중국인의 방문도 예상되면서 국제적인 해돋이 명소로 자리 잡을 것 같습니다.


제주도는 성산 일출봉 이외에도 정말 많은 관광 명소가 있는데요. 주변 관광 정보가 궁금하시다면 제주도 공식 관광 포털 홈페이지(http://www.visitjeju.net)를 참고해 주세요.

너무 혼잡하다면 성산 일출봉 보다는 비교적 인파가 적은 지미봉 에서 해돋이를 보실 수도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성산 일출봉과 떠오르는 해를 함께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 해맞이 축제 (2017.12.31 ~ 2018.01.01)



부산 해맞이 축제는 해운대 해수욕장 일원과 용두산 공원에서 치뤄지는 행사로 해마다 수많은 인파가 몰려 다함께 신년을 맞이하는 명소 입니다. 부산지역 역시 다양한 먹거리와 가볼곳이 있는데요. 상세한 정보 확인은 중구 문화 관광 홈페이지(http://tour.bsjunggu.go.kr)에서 가능 합니다.



땅끝 해넘이 해맞이 축제 (2017.12.31 ~ 2018.01.01)



해남 땅끝마을에서 열리는 해돋이 축제로 새해 첫 일출을 맞이하려는 사람들로 가득해집니다. 갈두항 옆 기암괴석인 형제바위와 갈라진 바위 사이로 떠오르는 해돋이가 그야말로 장관입니다. 땅끝마을 주변을 더 둘러볼 계획이라면 해남군청 문화관광 홈페이지(http://tour.haenam.go.kr/)를 참고해 보세요.



여수 향일암 일출제 (2017.12.31 ~ 2018.01.01)



여수시 임포마을(향일암) 일원에서 열리는 해맞이 축제 입니다. 향일암 이라는 이름 자체가 '해를 향해 있다'라는 뜻으로 금방이라도 해돋이를 볼 수 있을 것 같은 기대감으로 사람들의 마음을 뛰게 만듭니다. 해양관광의 중심 여수에 대해 더 살펴보고 싶다면 여수관광문화 홈페이지(http://tour.yeosu.go.kr)를 방문해 보세요.



울산 간절곶 해맞이 축제 (2017.12.31 ~ 2018.01.01)



간절이라는 이름은 바다를 항해하는 어부들이 멀리서 이곳을 바라보면 마치 '긴 대나무 장대'처럼 보이는 것에서 유래하는데요. 이름처럼 육지가 바다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모양 입니다. 울산에서 더 머무를 계획이라면 울산관광 홈페이지(http://tour.ulsan.go.kr)를 참고해 주세요.



서울 하늘공원 해맞이 행사 (2018.01.01)



수도권에 거주하시는 분들이라면 멀리 가지 않고 가까운 곳에서 해맞이를 하고 싶은 분들도 계실텐데요. 서울 상담동 월드컵 공원내 하늘공원 역시 수도권의 유명 해돋이 장소로 인파가 몰리는 장소 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월드컵공원 홈페이지(http://parks.seoul.go.kr) 또는 마포구청 홈페이지(http://www.mapo.go.kr)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새해 첫날 해맞이는 계절상 추운 겨울이다 보니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보온에도 신경을 써야하는데요. 올 겨울에는 롱패딩이 유행이라 많은분들이 입지 않을까 생각도 드네요. 해돋이 보러 가실때는 기본적으로 셀카봉, 핫팻, 무릎담요, 장갑, 보온병(또는 따뜻한 음료)등을 챙기두시면 추위 예방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얼마 남지 않은 2017년 한해 마무리 잘 하시고 다가오는 2018년 희망차게 맞이하였으면 좋겠습니다. 지금까지 2018년 해돋이 명소 해맞이 축제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