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건강

GI지수표 제대로 이해하기

킹스핸들 2017. 1. 26. 09:00

GI지수표 제대로 이해하기


현대인의 영원한 숙제 다이어트와 연관이

깊은 GI지수(Glycemic Index ; 혈당지수)에

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보통 다이어트 할때 칼로리(kcal ; 열량)만

신경쓰며 식단관리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만

GI지수도 함께 신경쓰면 보다 효과적인

다이어트를 할 수 있습니다.


              


GI지수(혈당지수)는 당분이 혈관까지 도달하는

스피드를 숫자로 표현한것 입니다.

음식물 섭취후 소화과정에서 혈관속에 가장

마지막으로 남는 당분이 포도당 입니다.

이것을 100 이라는 수치로 기준점을 삼고

다른 음식들이 포도당이 될때까지의 속도를

수치화 시킨것 입니다.


                


우리몸은 항상 일정수준으로 혈당을 유지시키는데

이 혈당이 넘치게 되면 이것을 분해하기 위해

인슐린이 분비 됩니다.

인슐린은 과잉 혈당을 지방으로 변환시켜서

우리몸의 구석구석에 저장시키는데 이렇게 되면

다이어트의 적인 지방이 축적되면서 살이

빠지는게 아니라 오히려 더 찌게 됩니다.



GI지수, 즉 혈당지수가 높은 음식은 체내 혈당을

빠른 속도로 늘리고 이것을 분해하기 위한

인슐린 분비를 촉진시키게 되며 곧바로

지방 축적의 지름길로 이르게 되어 살이 찌게

되는 서글픈 원리 입니다.

인터넷에는 다양한 음식물에 대해 수많은

 GI지수표가 존재 합니다.



일반인의 경우에는 단순참고를 할수도 있지만

당뇨증세가 있다면 본인의 혈당지표를 반드시

참고하여야 한다고 합니다.

사람에 따라서 혈당상승을 일으키는 음식의

종류와 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음식은 여러종류의 식재료가

혼합된 경우가 많기때문에 단순히 GI지수로만

판가름하기는 어려운면이 있습니다.


                          

GI지수표를 참고로 하는것도 나쁘지 않습니다만

좀 더 다양한 음식에 대한 영양성분별 비교를

하고 싶다면 대한당뇨병학회의 홈페이지 정보를

추천해 드립니다.

한식,일식,중식,양식,분식별로 열량,당질,단백질,

지방성분을 상세히 알려주고 있습니다.

음식 조절만이 아닌 운동과 병행하는 건강한

다이어트로 체중조절에 성공하시길 기원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