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틈새 정보

CBM 간편 계산기

킹스핸들 2017. 6. 28. 22:46

해외이사나 무역업무, 화물 운송등을 하게 되면 많이 듣게 되는 용어중에 하나가 바로 CBM 입니다. CBM은 Cubic Meter 의 줄임말로 가로X세로X높이가 각각 1M(미터)인 부피를 나타내는 단위 입니다.



컨테이너에 화물을 적재할 경우 컨테이너의 내장 사이즈(실제 적재 가능 공간)를 고려해야 하는데 보통 중량은 톤이나 KG 으로 표시하고 부피는 바로 이 CBM 으로 표시합니다. 공용화 된 단위를 사용해야 얼마 만큼의 화물이 적재 가능한지 컨테이너 사이즈와 수량도 결정이 가능하니까요.



CBM은 보통 가로,세로,높이 또는 장(길이;Length), 폭(너비;Width), 고(높이;Height)라고도 부르는데요 컨테이너가 기본 적재함인 해상 운송 그중에서 LCL(Less than Container Load) 이나 FCL(Full Container Load) 운송에서 운임 산정시에 많이 사용 됩니다.




CFS(Container Freight Station)에 보통 메자(Measurement)가 얼마나 나왔는지 물어보는데 바로

CBM단위로 얼마나 나왔는지 확인하는것 입니다. CBM은 정육면체의 부피로 계산하기에 그것이 바로 실제 적재 박스수량와 일치 하지는 않습니다. 적재 화물이 모두 네모 반듯한것은 아니기 때문이지요.



그래도 물류 비용과 직결 되기에 어느 정도일지 계산을 해야 하는데요 수출입 물류 정보사이트(www.forwarder.kr)에서는 이런 CBM 계산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전용 계산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CBM 계산기 사이트 바로가기 : https://goo.gl/FDyKw4


컨테이너는 내장 사이즈가 정해져 있지만 화물을 적재하다 보면 밀착시켜서 적재하는데 한계가 있고 사이즈와 모양이 맞지 않아 적재불가 공간이 발생하기도 하기에 무엇보다 화물의 특성과 포장 형태를 감안하는것이 작업 효율 향상과 물류 비용 절감에 도움이 됩니다.



사이트에서 계산하는것도 좋지만 수시로 계산이 필요하신분들을 위해 간단하게 엑셀 파일도 하나 만들어서 첨부하였으니 업무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지금까지 CBM 간편 계산기에 대해 함께 알아 보았습니다.


CBM 간편 계산기.xls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