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IT인터넷

핑(PING) 낮추는법 알아보기

킹스핸들 2016. 12. 14. 09:00

핑(PING) 낮추는법 알아보기


롤(LOL)등의 온라인 게임을 할때 항상 중요한것중의 하나가 바로 속도 입니다.

렉이 걸렸다거나 반응속도가 느리다거나 버벅 거린다거나 하는것들이 대부분

핑(PING)과 연관이 깊은데 이것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핑(PING)은 'Packet Internet Grouper'의 약자로서

다른 호스트에 IP데이터그램이 문제없이 전달되는지 확인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보통 시스템 이나 네트워크등의 장애 유무를 판별하는데 사용합니다.

온라임 게임을 할때 집보다 보통 PC방이 원활하고 시원하게 더 잘되는 이유중의 하나가

바로 핑(PING)이 낮은것도 해당 됩니다.


                    


그럼 핑(PING)을 낮추기 위한 방법을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중에는 핑을 낮추는 서브 프로그램들이 많이 나와있는데요 이것을 활용하는게

효과적인 방법중의 하나 입니다.


대표적으로 '패스트핑(FastPing)' 이 있습니다.


                     


인터넷 검색에서도 쉽게 찾을 수 있으며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무료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사용전후에 월등한 차이는 아닙니다만

사용 하는것과 그렇지 않은것에는 대부분 차이가 발생 합니다.



특히 컴퓨터가 오래되어서 많이 버벅인다면 이러한 보조 프로그램의 도움이

보람차게 느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외에도 '게임부스터'나 '레이저부스터'등의 프로그램이 있으니

각자의 특성에 맞게 사용하면 더 좋을것 같습니다.



보조 프로그램을 사용하기전에 가정에서 핑 상태를 확인해 보는것도 방법중의 하나 입니다.

Windows검색 창이나 '윈도우 로고+R'의 단축키를 눌러 나타나는 창에서

'cmd'라고 입력을 하면 위와 같은 창이 나타납니다.

여기에서 'ipconfig'를 입력후 엔터를 누르면 내 컴퓨터의 IP 구성 정보가 나타납니다.

여기서 기본 게인트웨이를 확인합니다. 

예제로 '123.456.7.8' 이라고 임의기재 해 보았습니다.



여기서 다시 'ping 기본 게이트 웨이(ex: 123.456.7.8)'를 입력한후 엔터를 눌러 줍니다.

결과중에서 '시간'을 주목 합니다.

시간이 대략 7~8ms 이하이면 보통 온라임 게임을 무리없이 할 수 있는 정도입니다.

네트워크가 불안할 경우에는 시간이 각각 나오는 경우도 있는데 다행히도

모두 일정하게 5ms가 확인 됩니다.

보통 30ms 이상이 나올경우 인터넷 수리 기사분을 초청하실 필요가 발생하며

20ms~30ms 에서는 간간이 버벅임 현상이 나타날 확률이 높습니다.


                          


이외에도 컴퓨터 사양 이나 사용환경, 인터넷 환경 및 서버등 다양한 요인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많은 프로그램을 동시에 사용하면 느려짐 현상이 심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게임을 할때는 오로지 게임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여타 응용프로그램은 닫아주는게 좋습니다.

지금까지 핑(PING) 낮추는법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