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보는 것도 듣는 것도 말하는 것도 장애를 가진 헬렌 켈러의 단 한가지 소원은 딱 3일 동안만 이 세상을 보는 것 이었습니다. 그만큼 눈(안구)은 너무나 소중한 신체 기관인데요. 안구암 증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종양은 신체 어디에서나 생길 수 있는데요. 특히 악성 종양은 치명적 위험을 초래할 수 있고 우리는 이것을 보통 암(癌) 이라고 부릅니다. 눈은 얼굴 표면에서 대략 5cm 깊이의 뼈가있는 구멍으로 그 가운데 안구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눈 종양은 눈 안쪽에 형성된 불필요한 세포 덩어리를 의미합니다. 물론 안구 종양(안구암)은 눈 안쪽뿐만 아니라 안구를 옆으로 움직이거나 눈을 바깥쪽으로 유도 할 수 있는 안구 표면에도 생길 수 있습니다.
안구 종양(안구암)은 안구 층의 색상 변화가 특징입니다. 안구암은 눈의 모든 조직에서 원발 종양으로 발전하거나 이차 종양을 가지고 부비동, 뇌 및 비강 또는 다른 먼 장기와 같은 인접한 조직을 침범 할 수 있습니다.
안구암은 시력 상실이라는 치명적인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데요. 소아에게 가장 흔한 양성 종양에는 유피 낭종과 혈관종이 포함되며 악성 종양에는 망막 모세포종이 포함됩니다. 성인에게 가장 흔한 안구 종양은 혈관 종양, 예를 들어 혈관종, 림프관종 및 혈관 결함, 신경 종양, 지방 및 눈 주위의 부비동을 포함합니다.
림프종은 성인에서 가장 흔한 악성 종양이며 전이성 안구 동맥증은 유방 및 전립선 종양보다 더 자주 발생합니다. 눈 종양은 대부분 명확한 징후가 없어 진단이 늦게 된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 인데요.
종양이 보통 눈 뒤 안쪽에 위치한다는 사실을 잘 모르기에 안구 표면에 이상이 없으면 크게 신경쓰지 않고 넘어갈 확률이 높습니다. 갑자기 눈이 나빠지면 시력 감소에 대해 불평 할 뿐 이러한 가능성을 간과하기 쉽습니다.
눈 종양(안구 암) 증상으로는 눈 발작, 통증, 시력 저하, 졸음, 홍조, 눈꺼풀 부종 또는 덩어리가 있습니다. 일부 종양은 초기에 쉽게 알아볼 수 있는 반면, 어떤 종양은 명백한 증상이 있기 전까지 별다른 이상 징후가 보이지 않아 증상을 악화 시킬 수도 있습니다.
안구암 종류
흑색종(Melanoma)은 보통 조기 증상이 없으며 시력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이 경미합니다. 출혈과 통증은 종양이 커지면 발생합니다. 중증 혈증은 망막의 중심 및 불규칙성을 감소시키는 혈관의 결과 인 눈의 비 종양입니다.
맥락막(Choroid) 신경 종양은 손톱의 피부와 비슷한 부위로 중앙 또는 주변 시력이 저하 될 수 있습니다. 결막 종양은 눈의 바깥 표면에 발생하여 통증과 시력 문제를 일으킵니다. 눈꺼풀 종양은 통증, 부기, 시력 문제 및 눈물샘 문제를 발생시킵니다.
안구암 검사방법
가장 확실한 방법은 안과를 방문하여 정밀 검사를 받는 것입니다. 환자의 시력, 일반적인 건강 및 눈과 주변 조직기능등을 검사합니다. 필요할 경우 CT, MRI 및 초음파와 같은 다른 검사를 할 수도 있으며 조직 검사가 진행될 수도 있습니다.
안구 흑색종(Ocular Melanoma)
성인 중 가장 흔한 안과 종양은 안구 흑색종입니다. 흑색종은 안구의 피부 색소(흑색종)을 생성하는 피부 세포에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눈에는 멜라닌 생성 세포가 있으며 멜라 노마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눈에서 가장 흔하게 발병하는 부위입니다.
가끔씩 안구 흑색종은 외관상 보이지 않는 영역에서 생성됩니다. 이럴 경우, 일반적으로 조기 징후와 증상이 없어 진단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눈 주위에도 흑색종이 생길 수 있습니다. 각막, 속눈썹, 홍채등 에서도 발생하지만 보통 눈의 다른곳에서 더 흔합니다.
각막은 눈의 빛 반사를 막아주며 눈을 외부로부터 보호해 주는 층입니다. 빛을 통과, 굴절시켜 볼 수 있게 해주며 눈의 초점을 조정합니다. 안경과 렌즈를 대신하여 많이 하는 라섹, 라식 수술이 이 각막을 깎아 굴절률을 조정하는 수술 입니다.
홍채는 눈에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투명하고 색깔있는 디스크입니다. 이 모든 구조물에는 멜라닌 색소가있어 흑색종이 발병할 수있습니다. 흑색종은 나이가 들수록 그 발병 가능성이 점점 더 높아집니다.
망막모세포종
소아에서 흔한 안구 종양(안구암) 중 하나 입니다. 망막아세포종이 보통 모든 연령에서 균일하게 발생하는 반면, 망막모세포종은 5세 미만의 어린이, 그 중에서도 특히 2세 미만의 어린이에게서 더욱 흔합니다.
망막모세포종의 약 40 %가 유전성입니다. 진단은 유전적 검사와 혈액 검사로 결정됩니다. 부모가 망막모세포종이 있으면 아기도 발병 위험이 높습니다. 의료계에서는 3년마다 안구 검사를 받을 것을 권장합니다.
망막아세포종
망막아세포종은 1000명당 1명꼴로 유전자 돌연변이로 발생합니다. 발병 환자의 절반 이상은 안구암(안암) 발병 이력이 없는 가정에서 만들어 집니다. 대표 증상은 눈동자 또는 그 일부가 흰색 입니다. 방사선 검사에서 이러한 사람들의 눈에는 흰색 부스럼이 나타납니다.
안구암(안암) 원인
과학적으로 명확하게 안구암에 대한 원인이 밝혀지지는 않았습니다. 앞서 설명드린 대로 일부는 유전적 원인으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그 외에는 안타깝게도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고 있습니다.
면역력이 떨어지는 사람의 발병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면역력 저하는 이것 외에도 다양한 질병의 발병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구체적 원인이 불명확하기에 정기적인 검진을 통하여 조기에 발견하는게 가장 좋은 예방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눈 건강 역시 특별한 이상이 없으면 소홀하기 쉬운데요. 안암(안구암)의 경우 특별한 징후가 없고 발병이 되면 시력 상실뿐 아니라 생명까지 위험할 수 있기에 평소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1년에 1번정도 정기적인 안구 검사를 추천하고 있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초기 가슴통 원인과 대책 (0) | 2018.05.07 |
---|---|
생리전 갈색냉 갈색피 갈색혈 원인 (0) | 2018.05.07 |
폐렴 옮나요 알고 싶어요 (0) | 2018.05.07 |
숙취 속울렁 해결 방법 (0) | 2018.05.07 |
머리아프고 속울렁 증상의 원인과 대책 (0) | 2018.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