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정상체중 계산기로 비만도 측정하기
오늘일을 내일로 미루는것중에 가장 많은것은??
아마도 다이어트(살빼기)도 대표주자가 아닐까
싶습니다. 다른건 몰라도 다이어트는 내일부터를
외치면서 눈앞의 맛있음 음식과 하나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만큼 먹는 즐거움을 포기한
다는게 쉬운일은 아닌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지나친 과식이 과음이나 흡연처럼
각종 성인병의 원인으로 지목받는것도 피할
수 없는 현실이기도 합니다.
혹시 지금의 내 체충이 비만일까? 라는 궁금증이
생길때 간편하게 알아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물론 이 방법은 간편하게 알아보는 수준이므로
전문적 깊이를 보증하지는 않습니다.
더 정확한건 가까운 병원이나 혹은 전문 장비를
통해 확인해 보시길 권장 합니다.
내 체중이 정상치인지 궁금하다면 인터넷에서
'비만도 계산기'라고 입력합니다.
성별을 선택하고 키(신장)과 체중, 나이를 입력
하고 계산을 눌러 주면 나의 신체 질량 지수
(BMI ; Body Mass Index, 비만도)가
나타납니다. BMI 는 kg/m2 으로 몸무게(kg)
를 신장(m)의 제곱치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여자, 160cm, 55kg, 만 25세로 임의적으로
입력해 보았습니다.
결과는 신체질량지수(BMI) 21.48 (정상)으로
나옵니다.
근데 이것은 단순한 계산치이기에 오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비만여부를 체크할 때 함께 감안해야 하는것
중에 체지방량, 골격근량(근육량), 복부지방률등
이 있기 때문 입니다.
동일 체중, 동일 신장(키)이어도 위에 말한것의
차이로 실질적인 비만도는 상당한 차이를
보일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신체질량지수(BMI) 자체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기도 합니다.
비만도는 1993년 WHO (세계보건기구)가 지정
하였는데 그 당시에는 25~30 을 과체중이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서양인을 중심으로
만든 기준이기에 동양인에게는 맞지 않는다고
하여 7년후에 동양인 기준을 수정하였습니다.
동양인은 23~25 를 과체중 구간으로 수정
하였는데 문제는 이것 역시 동양인 전체 인구로
가정할 만한 충분한 자료를 바탕으로 하지
않았다는 것에 있습니다.
실제로 동양인 114만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사망률이 가장 낮은 구간은 23~27 로
조사되었다고 합니다.
과체중 구간에 있는 사람들의 사망률이 정상
체중 사람들의 사망률보다 더 낮게 나타난
것입니다.
일본도 남자 27.7, 여자 26.1 이상으로 기준을
조정, 국내 비만 기준 역시 실정을 다시 파악
하여 정해야 한다는 소리도 많다고 합니다.
단순 수치 입력 계산 보다는 다양하고
정확한 측정을 통한 확인이 중요해 보입니다.
무엇보다 단순한 음식량 조절이 아닌
운동과 함께 하는 다이어트가 필수일것
같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산부 체했을때 손따기? 소화제?? (2) | 2017.04.11 |
---|---|
제체기증상과 대처 방법 (0) | 2017.02.24 |
현대인을 위한 기본 건강 상식 (0) | 2017.02.17 |
효과적으로 말굽버섯먹는법 (0) | 2017.01.28 |
GI지수표 제대로 이해하기 (0) | 2017.01.26 |